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앤서니에드워즈
- NBA포인트가드
- 제임스와이즈먼
- nba선수
- 테마주
- 2020드래프트
- 세르비아농구선수
- 공익
- 주식
- nba신인
- 사회복무요원
- 슈팅가드
- 삼성전자
- 2020nba드래프트
- nba드래프트
- nba드래프트1순위
- 공익훈련소팁
- 주식초보
- nba드래프트정리
- nba드래프트2020
- 공익훈련소
- 주식기본용어
- 2020nba드래프트정리
- 주식공부
- nba
- 라멜로볼
- 오비토핀
- 주식기초용어
- 주식용어정리
- 컴활당일치기
- Today
- Total
목록주식공부 (7)
시적 장치
어느덧 기초 용어 정리글도 곧 마무리가 될 것 같은데요. 오늘은 금융 상품들인 ELS와 ELW 그리고 ETF에 대해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ELS (주가연계증권) : Equity Linked Securities 개별 주식이나 주가지수에 연동되어 수익이 판가름나는 상품으로, 종류와 조건들이 굉장히 다양해 수익구조가 복잡합니다. 원금의 보장 여부, 수익률을 가장 먼저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고 신중하게 판단하는 게 중요합니다. ELS의 경우 수익률이 엄청나게 높지는 않지만 리스크가 좀 낮다는 장점이 있어서 보통 은행보다 높은 수익률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선호됩니다. 원금 비보장형 등의 상품은 조건에 벗어날 경우 큰 손실로 연결되기도 합니다. 원금 보장형 ELS 상품의 경우 어떤 종목의 주가가 만기 내에 한 번이라도..
오늘은 변동성 완화장치, VI와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특히 변동성 완화장치는 뉴스, 커뮤니티 등에서 매일 이야기가 나오는 주제이기도 한데요. 변동성 완화장치(VI)란? 앞서 설명드렸던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가 주식 시장 전체에 내려지는 제도 장치라면, 변동성 완화장치는 개별종목에 행해지는 제도 장치입니다. 개별종목 가격이 직전 체결가격 또는 전일 종가에 비해 일정수준 이상 변동이 발생했을 때 거래는 지속되지만 2분간 단일가로 매매가 전환되는 제도 장치입니다. VI는 선의의 투자자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만들어진 장치가 되겠습니다. 주문실수, 수급불균형 등 일시적 불균형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가격의 변동을 완화시켜주는데요. 급격하게 변동하는 종목에 대해 2분간..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 어디서 많이 들어본 용어이실텐데요. 가끔 주식 장이 열려 있을 때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에도 올라오는 용어입니다. 오늘은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 VI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VI - 개별 종목에 대한 보호 장치 서킷브레이커&사이드카 - 증권 시장 전체에 대한 보호 장치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란? 가끔 주식 거래를 시도하는데, 거래 중단으로 거래가 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때 개별종목에 대한 거래 중단, 주식 시장 전체 거래 중단이 될 때가 있는데 서킷브레이커는 코스피&코스닥이 전일 종가 기준 10% 이상 하락한 상태로 1분 동안 유지될 경우, 시장 전체 거래를 20분동안 중단하는 제도입니다. 또 20분이 지났을 때, 10분동안 동시호가 접수를 받고 10분이..
감자란? 자본의 감소를 이르는 말로, 증자와는 반대 개념이다. 유상감자란? 기업의 규모에 비해 자본금이 지나치게 많다고 판단될 때, 자본금 규모를 적정하게 줄임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주가를 높이는 목적,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목적으로 활용 기업의 규모에 비해 자본금이 많으면 자가자본비율이 낮아져 배당금이 줄기 때문에 경영압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무상감자란? 형식 상 감자로 부르기도 함. 적자가 계속될 경우 자본의 잠식이 일어나는데, 이때 자본금 규모를 줄여 회계상 손실을 털기 위해 행하는 것. 즉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것이다. 자본금은 줄지만 총자산에 영향은 없으면, 주주들에게 보상은 없기 때문에 구주주들에겐 그다지 좋은 일은 아니다. 하지만 기업은 장기적으로 투자 증가, 유동성 감소로 인..
공매도란? 공매도는 주식이나 채권이 없는 상태에서 매도주문 하는 것을 말합니다. '없는 것을 판다'라는 뜻이죠. 없는 주식이나 채권을 팔고 난 이후에 결제일이 돌아오는 3일 내로 주식이나 채권을 구해, 매입 or 매수하는 것을 말합니다. 약세장일 때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자에게 활용되는 방식인데요. 공매도는 주식시장에서 몇 가지 예외를 빼고 허용되지 않습니다. 숏커버링이란? 매도한 주식을 다시 사는 환매수를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공매도를 할 시 주가하락으로 시세차익을 낼 수 있지만 반대로 주가가 상승하면 손실을 줄이기 위한 경우도 생깁니다. 증시가 추가로 하락할 것이라 생각한 투자자들이 일단 주식을 빌려 공매도하고 이후 빌린 주식을 돌려주기 위해 주가가 추락한 틈을 타 주식을 재매입해서 차익을 노리는 걸..
==== 오늘은 기초 용어 정리 두번째 포스팅입니다. 좋은 정보로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기초 용어 ) 증시 개장 시간 장전 시간 외 종가 07:30-08:30 정규장 09:00-15:30 장 종료 후 시간 외 종가 15:30-15:40 시간 외 단일가 16:00-18:00 시가 &종가 시가: 당일 정규장이 형성될 때의 가격 종가: 당일 정규장이 마감할 때의 가격 고가 &저가 고가: 당일 거래된 가격 중 가장 높은 가격 저가: 당일 거래된 가격 중 가장 낮은 가격 * 고가와 저가는 당일의 상/하한가보다 높거나 낮을 수 없습니다. 상한가와 하한가 전일 종가의 +(-) 30%로, 주가가 급격히 변해서 생기는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정해놓은 최고가격과 최저가격. 만약 전일 종가가 10,000원일 때, 상..

안녕하세요, double dribble입니다. 요즘 주식 시장에 개인 투자자들의 수가 많아지면서 주식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도 높아졌고, 개인 투자자의 증가 추세도 나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데요. 저 역시 일주일 전부터 주식용으로 증권 계좌를 개설하고, 조그마한 돈으로 투자를 해보면서 주식시장이 어떤 곳인지 체감하고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테마주를 매수하면서 주식 시장에 입문했는데요. 하다보니 기본적인 용어도 모른채 주식을 하는 것이다보니 정보가 딸릴 때가 많고 뉴스에서도 어떤 말을 하는지 모를 때가 많았습니다. 기사 하나하나를 볼 때에도 왜 코스피 지수가 오르는지, 원-달러 환율은 왜 오르고 내리는지 알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저도 차근차근히 주식 공부를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정리해서 ..